본문 바로가기

Danaidae_view

왕나비과 나비들

현재,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왕나비(Danaidae)는 2종이다

제주왕나비. 끝검은왕나비

1990년 중반 이전까지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일본열도, 중국남부, 대만등지에서 일시적으로 유입되는 끝검은왕나비가 제주도,경남 칠포, 충남서산등지에서 발견되기도 했으나 토착화된 나비는 아니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전남 보성과 전남 여수에서 토착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현재는 경남의 일부지역과 전남의 일부지역에 분포한다

 

왕나비(제주왕나비)_Parantica sita

제주도에 분포한다

산지내 능선이나 정상주변의 잡목림 숲에 서식하며 곰취나물,엉겅퀴,큰까치수영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특히, 여름에 발생하는 개체들 중 일부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경기 북부 일부와 태백산의 800능선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타 지역에서의 세대교체는 확인되지 않았다.

애벌레의 식초가 박주가리 식물이고, 제주에서만 자생하는 식물이므로 타 지역에서는 산란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5월~6월/봄형, 7월~9월/여름형이 발생한다


끝검은왕나비_Danaus chrysippus

남한에는 전남,경남일부지역에 분포한다

1990년대 중반 이전에는 장마가 지난 후에 일본열도,중국남부,대만등지에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유입된 개체들이 제주도,경남 칠포,충남 서산등지에서도 발견된바가 있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전남여수,전남보성에서 토착화가 이루어지고 현재는 경남 일부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도깨비바늘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7월에서 9월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