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종나비들

보호종 나비들

nabigarden 2023. 4. 29. 08:13

현재,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동식물 곤충강(insecta) 나비목(Lepidoptera)에는 6종이 지정되어 있다.

어느 종에 대하여는 종의 복원을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며, 어느종에 대하여는 복원이 불가능할 정도의 멸종 상태에 있기도 하다.

어느 지역이든, 이 종들에 대한 채집 및 포획이 금지되어 있다.


산굴뚝나비_Hipparchia autonoe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1급)

제주도 한라산에만 분포한다

대체로 1300능선의 관목림 숲에 서식하며 꿀풀,솔채꽃,금방망이등에서 흡밀한다

개체수가 적어 발견이 쉽지 않다

7월~8월까지 발생한다


상제나비_Aporia crataegi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1급)

강원 및 충북일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1990년대 이전에는 강원도 쌍용 및 창월리에 많은 개체수가 서식하였으나, 무자비한 포획으로 1990년대 중반 이후로 멸종된 듯 보인다.

석회암지대의 낮은 산지내 관목림 숲에 서식하며 엉겅퀴,조뱅이,토끼풀등에서 흡밀한다

5월중순에서 6월 초순까지발생한다

분류상 배추흰나비아과에 속한다


붉은점모시나비_Parnassius bremeri /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1급)

남한 전역에 극히 적은 서식지 분포를 보이며 환경부지정 1급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채집이 금지된 종이다

산지의 하부능선의  초지나 강가주변에 서식하며 기린초,엉겅퀴,아카시아에서 흡밀한다

5월초순에서 6월중순까지 발생하며 그 시기가 짧다.

분류상 모시나비아과에 속한다


깊은산부전나비_Protantigius superans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2급)

충남, 강원도의 동,북부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고산지대의 일정 능선의 잡목림 숲에 서식하며 오전에는 은사시나무 잎 위에서 일광욕을 즐기며 민첩하게 날아다니면서 큰까치수영등에서 흡밀하기도 한다

6월~8월까지 발생한다

분류상 부전나비과 녹색부전나비아과에 속한다


쌍꼬리부전나비_Cigaritis takanonis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2급)

충청도 일부지역과 경기도 강원도 지역에 분포한다

저산지대의 소나무 숲에 서식하며

오전에는 낮은 관목림 잎 위에서 일광욕을 하며

오후에는 일정한접도를 날아다니면서 밤나무,큰까치수영,개망초등에서 흡밀한다

6월~7월중순까지 발생한다

분류상 부전나비과 녹색부전나비아과에 속한다


왕은점표범나비_Argynnis nerippe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2급)

울릉도를 제외한 남한 내륙전역에 분포한다.

저산지대의 숲 가장자리,하천,둑,경작지주변 초지에 서식한다

개망초,큰까지수영,엉겅퀴등에서 흡밀한다

8월에 20여일 정도 하면을 한 후, 초가을부터 다시 활동한다

6월~9월까지 발생한다

분류상 네발나비과 은점표범나비속에 속한다